TK 지자체, 일본인 묘 참배·기모노 체험으로 돈벌이? (pressian.com)
'순종황제어가길'은 대구 중구청(구청장 윤순영)이 2013년에 시작해 올 4월에 마무리한 국·시비 70억원짜리 사업이다.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이 1909년 남순행로 중 대구를 다녀간 게 모티브다. 수창동과 인교동 2.1km에 쌈지공원, 역사갤러리, 역사거리를 조성하고 달성공원 앞에 순종 동상도 세웠다. 하지만 순종 행렬 자체가 자의적 결정이 아닌 조선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 강요에 의한 것이며 조선 독립 의병들을 억눌러 한일 강제합병을 홍보하기 위한 것으로 역사학계의 비판을 사고 있다.
수성못 미즈사키 린타로 추모제도 비슷한 지적을 받고 있다. 대구 수성구청(구청장 이진훈)은 일제 당시 수성못 축조를 주도한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를 추모하기 위해 미즈사키 고향 일본 기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수성못 미즈사키 묘에서 1999년부터 매년 추모제를 열고 있다. 올해 4월에도 이 구청장은 참배와 헌화로 그를 기렸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와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쌀 식량 수탈을 목적으로 미즈사키와 친일 귀족 조선인 5명에게 지시해 1927년 농업용 저수지로 지은 곳이 바로 수성못이다.
포항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포항시는 2010년부터 3년간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길 153-1에 예산 85억원을 들여 '구룡포 근대문화역사거리'를 조성했다. 일본인들이 조선으로 건너와 살았던 어촌 마을을 모티브로 457m 거리에 일본가옥 30동과 당시 요리집과 찻집 등을 복원했다. 그러나 구룡포는 동해안의 풍족한 어류를 일제가 수탈하기 위한 어업 전진기지화의 피해지다. 그럼에도 포항시는 근대거리 안내판에 이곳을 전설에 나오는 이상향의 나라 '엘도라도'라고 소개하고 있다. 또 근대거리 내 한 카페는 일본 전통복 기모노와 유카타를 대여해주고 근대문화를 체험하자고 홍보하고 있다.
------------------------------------------------------------------------------------------------------------------------
대구 경북 지역은 일제 강점기를 떠올리는 역사의 아픔을 왜 관광 상품화 했을까?
한민족은 어떤 것을 관광상품으로 만들어 후세나 외국인에게 알려야 할까?